“그 시기만 지나면 그런 불안한 마음은 괜찮아지나요?” 
이토록 무구한 이야기의 탄생, 백수린 신작 짧은 소설 

“괜찮아지나요?”라고 희미하게 말하는 이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다만 지금, “여기의 온기”를 기억하며 “체념에 얼룩지지 않은 것 같은 말간 웃음”을 더해 건네는 소설가. 문지문학상, 이해조소설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2019년 예스24 독자가 뽑은 ‘한국문학의 미래가 될 젊은 작가’로 선정되며 현재 가장 기대감 넘치는 행보를 보이는 소설가. 『폴링 인 폴』 『참담한 빛』 『친애하고, 친애하는』을 통해 섬세한 서사의 결을 드러내며 독자와 평단의 고른 지지를 받아온 젊은 작가 백수린의 신작 소설이 출간되었다. 박완서의 『세 가지 소원』, 정이현의 『말하자면 좋은 사람』, 이기호의 『웬만해선 아무렇지 않다』, 김숨의 『너는 너로 살고 있니』, 이승우의 『만든 눈물 참은 눈물』, 김금희의 『나는 그것에 대해 아주 오랫동안 생각해』, 손보미의 『맨해튼의 반딧불이』에 이은 마음산책 짧은 소설 시리즈 여덟 번째인 『오늘 밤은 사라지지 말아요』.
무더위로 공항에서 남편과 휴가를 보내게 된 ‘주희’는 어릴 적 눈부신 여름날의 피서를 떠올리고 이제는 완고한 노인이 되어버린 아버지의 찬란한 젊은 날을 기억한다(「완벽한 휴가」). 회사와 사람들, 당장 다음 달 난방비를 걱정하며 불면에 시달리는 ‘그녀’는 어느 새벽길에 구조되어 집에 들인 늙은 개와 손익계산 되지 않은 온기를 나눈다(「그 새벽의 온기」). 사귄 지 5주년 기념으로 ‘우리’는 일본으로 두 번째 여행을 오지만 오 년 전과는 미묘하게 달라진 감정의 공기를 느끼며 어떤 끝을 실감한다(「어떤 끝」). 엄마와 처음 온 해외여행에서 아침 해가 뜨기를 기다리며 듣게 된 부모님의 첫 사랑의 순간(「비포 선라이즈), 대학 커플이었으나 이제는 가정을 꾸린 옛 연인과 이십 년 만에 재회한 비혼의 프리랜서인 내가 떠올리는 아스라한 감정(「오직 눈 감을 때」), 낯선 타국의 요양병원에서 폭설이 내리는 날 죽어가는 환자의 가족을 기다리며 ‘그녀’가 털어놓는 일생의 비밀(「아무 일도 없는 밤」) 등 이제는 사라져버린 시간, 사람, 감정의 애틋한 풍경들을 작가 특유의 섬세한 눈으로 그려낸다. “내가 잃어버린 것,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것, 오직 눈 감을 때에만 내게로 잠시 돌아왔다 다시 멀어지는” 것들과 “내 것인 줄 알아차리기도 전에 상실해버린 그 모든 것들”을 따뜻하게 호명하는 열세 편의 이야기에는 생의 미세한 균열을 감싸는 사려 깊은 마음이 가득하다. 
또한 이 책은 특유의 색감과 이야기가 있는 그림으로 사랑받는 일러스트레이터 주정아 작가의 그림을 배치해 보는 즐거움을 더한다.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야기가 살아 있는 그림은 자체로 책의 매력을 극대화한다.




“밤의 자락처럼 서서히 다가오지만 돌이킬 수 없음을 돌연 깨닫게 만드는 어떤 끝들”
상실의 세목, 평범한 사람들의 마음의 풍경들  


이 책의 주인공들은 모두 평범한 일상을 사는 이들이다. 혼자든 둘이든 어느 골목에서 맞닥뜨렸을지 모르는 우리 주위의 사람들. 작가는 놓치는 줄도 모른 채 상처를 들여다볼 새도 없이 현실을 살아가는 여리디여린 이들의 마음의 지도를 그린다. 이제 다 어디로 갔을까 싶었던 “상실의 세목들”을 꺼내 보이며 다시 괜찮아질 거라고 위안을 건넨다. 

정신없이 앞으로 걸어가다가 문득 멈춰 돌아볼 때야 비로소 깨닫게 되는 상실의 세목들. 겁 없이 손가락 걸며 주고받던 순정한 약속과 내일에 대한 무구한 믿음, 비눗방울처럼 허황하고 아름다웠던 꿈과 작은 기척에도 쉽게 수줍었던 날들은 이제 다 어디에 가 있을까.
-「작가의 말」에서

스물일곱 살 ‘민주’는 대학교 행정 조교로 일하고 있다. 온종일 아무도 찾지 않는 사무실에 앉아 스무 살 이후로 자신이 살았던 삶이란 꿈꾸어왔던 것들을 조금씩 하향 조정하는 날들의 연속인 것처럼 느낀다. 꿈의 디테일들을 하나씩 버리며 걸어왔지만 지금 어디쯤 도착해 있는지 어떤 끝을 향하는지 알 수 없는 날들, 몇 년째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남자친구와의 관계 또한 불안하기는 마찬가지. 강의를 하는 박 선생이 휴강 공지를 모르고 사무실에 들러서 차  한잔을 나누는 사이 민주는 그녀에게서 기운을 얻는다. 지금은 “영원히 오지 않을 것 같은 끝에 대해 생각하기를 멈추고 다만 여기, 여기의 온기에 집중”하면서.  

“……괜찮아지나요?”
박 선생이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들었다는 표정으로 쳐다보며 민주의 책상 위에 차가 담긴 종이컵을 다시 올려놓았다. 
“그 시기만 지나면 그런 불안한 마음은 괜찮아지나요?” 
민주의 질문에 박 선생은 아무런 말없이 웃더니, “엔딩이 어떻든 누군가 함부로 버리고 간 팝콘을 치우고 나면 언제나 영화가 다시 시작한다는 것만 깨달으면 그다음엔 다 괜찮아져요” 하고 말했다. 
-「언제나 해피엔딩」에서




“스치듯 들이치는 한 줌의 빛이 있어 그들은 가까스로 서로의 표정을 읽을 수 있었다” 
소설가의 일이란 그들을 대신해 ‘가까스로’의 표정을 기록하는 것 

 

「참담한 빛」 속 여자아이와 남자아이는 어린 나이에 아기를 가져 부모가 되기로 한다. 해가 간신히 비치는 반지하 방에서 아기가 태어나기를 기다리며 “우리가 우리 아이를 잘 지켜낼 수 있을까?” 걱정하는 마음 가운데 그들이 텔레비전에서 맞닥뜨린 배의 침몰 사고 소식. 

여자아이가 고개를 끄덕였다. 남자아이는 여자아이의 둥글게 부푼 배 위에 귀를 대고 아기가 움직이기를 기다렸다.
“여보야. 아까 뭐라고 그랬지?”
“뭐가?”
“희망이, 어쩌고 하던 말.”
“희망이 기적이라는 말?”
“그리고 또.”
“불처럼 번지는 게 희망이라는 말?”
남자아이가 여자아이의 배에 귀를 댄 채 어둠 속에 가만히 있었다. 어딘가 저 멀리서 파도 소리가 들려왔다.
-「참담한 빛」에서 

“희망이 기적이라는 말”을 되뇌는 이들의 얼굴에 어리는 ‘참담한 빛’을 기억하는 일, “오늘 밤이 지나면 사라져버릴지라도 지금은 존재하는 어떤 기미와 흔적을 언어로 붙잡아두는 일”, 소설가의 일이란 어쩌면 “가까스로”의 표정을 대신 기억하고 기록하는 일일 거라 조심스럽게 말하는 작가의 목소리는 그래서 더 미덥다. 열세 편의 이야기에서 사세한 삶의 표정을 읽는 기쁨이 여기에 놓여 있다.  

이 책에 실린 짧은 소설의 주인공들은 모두 평범한 사람들이다. 마음을 들여다볼 겨를이 없어 자신이 무언가를 상실하고 있는지조차 알아채지 못한 채 살아가는 일상의 사람들. 어쩌면 내가 하고 싶었던 것은 그들을 대신해 마음의 풍경을 그리는 일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오늘 밤이 지나면 사라져버릴지라도 지금은 분명히 존재하는 어떤 기미와 흔적을 언어로 붙잡아두는 일. 굳은살처럼 딱딱해진 마음의 외피 아래서 벌어지는 사세하지만 결정적인 순간들을 기록하는 일.
-「작가의 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