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은 풀밭 곳곳에서 솟아오르는 작은 불빛, 그건 반딧불이였다” 

손보미 신작 짧은 소설집, 하드커버와 ‘경쾌한 에디션’ 두 가지 버전 동시 출간


자기 스타일을 확고하고 세련되게 구사하는 작가로 문단과 독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온 손보미 소설가. 그녀는 “말로 규정하지 않고 침묵으로 환기하는 스타일”(문학평론가 신형철)이라는 평이 무색하지 않게 매번 세심한 문체로 자신만의 소설 세계를 구축해왔다. 2009년 <21세기문학> 신인상 수상, 2011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래 한국일보문학상, 김준성문학상, 젊은작가상 대상에 이어 2017년 장편소설 『디어 랄프 로렌』으로 대산문학상까지, 유수의 문학상들을 수상하며 꾸준한 행보를 이어오고 있다. 

『맨해튼의 반딧불이』는 손보미 작가의 신작 짧은 소설집이다. 잃어버린 7시를 찾아주는 탐정부터 고양이 도둑, 불행 수집가까지. 20편의 짧은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분명 예사롭지 않다. 하지만 책장을 넘기다 보면 어느새 깊이 공감하게 된다. 원치 않은 결말을 마주하고, 그럼에도 그 삶이 절대로 나쁘기만 했던 건 아니라고 말하며,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됐는지 궁금해 하면서도 소중했던 한 계절의 기억을 붙잡으려 애쓰는 이들. 모두 불완전한 우리의 모습과 어딘가 닮아 있다. 

박완서의 『세 가지 소원』, 정이현의 『말하자면 좋은 사람』, 이기호의 『웬만해선 아무렇지 않다』, 김숨의 『너는 너로 살고 있니』, 이승우의 『만든 눈물 참은 눈물』, 김금희의 『나는 그것에 대해 아주 오랫동안 생각해』에 이은 마음산책의 일곱 번째 짧은 소설 『맨해튼의 반딧불이』는 일러스트레이터 이보라의 독특하고 개성 넘치는 22컷의 그림이 짧은 소설과 어우러지며 상상력을 더했다. 

특히 이번 짧은 소설은 하드커버 버전과 함께 ‘경쾌한 에디션’이 동시 출간된다. 흑백 무선으로 제작된 경쾌한 에디션은 가볍고 상쾌한 편집본으로 양장본과는 또 다른 매력을 선보인다. 하나의 책을 두 가지 물성으로 동시에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때로는 잃어버린 것은 잃어버린 것으로 놔둬야 하는 건지도 모릅니다”

분실물을 찾아주는 탐정부터 고양이 도둑, 불행수집가까지


그렇더라도 그는 자신이 처한 상황이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즐거움과 지루함, 충만함과 외로움이 마치 격자무늬처럼 그의 삶을 질서 있게 채우고 있었고, 그는 그게 묘하게 균형적이라고 느꼈다. 

—「계시」에서


『맨해튼의 반딧불이』에는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마주한 인물들로 가득하다. 한때는 시인이었지만 지금은 지방 문학관의 직원으로 일하고 있는 남자(「불행 수집가」), 누구보다도 성실하게 일했지만 갑작스러운 해고 통보를 받는 임시교사(「허리케인」), 젊은 날엔 맨해튼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으로 주목받았지만 어느덧 통통하고 주름진 노년에 접어든 여자(「반딧불이」) 등. 하지만 이들은 지나온 삶을 부정하고 원망하기보다 재해석하길 택한다. “이건 꿈꾸었던 인생이 아니지만, 도저히 나쁜 삶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고, “언젠가 마치 끈 하나를 잡아당기면 엉킨 끈이 풀어지듯이 잘못된 일들이 고쳐질 것”이라고 말한다. 행과 불행은 비록 교환이 성립되지 않는 사이일지라도, 이미 일어난 일은 바꿀 수 없다 하더라도, 이들은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바라보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다.


남수는 그녀는 자신의 삶이, 따지고 보면 언제나 자신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져왔다고 생각하기로 했다. 자신이 원하지 않은 일이라도 결국엔 자신이 원한 일이었다고. 누군가 그걸 잘못된 생각이라고 지적한다 해도 그녀는 끝까지 그 생각을 고수할 거라고, (…) 그녀는 이 세상의 그 누구도—심지어 그것이 신일지라도—자신을 저주할 수도, 축복할 수도, 긍휼히 여기거나 용서할 수도 없으리라고 생각하며, 반딧불이를 바라보는 시선의 초점을 잃어버리지 않으려고 안경을 고쳐 썼다.

—「반딧불이」에서


탐정을 찾아오는 의뢰자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는 과정에서 불현듯 그들의 지나간 시간이 무엇을 의미했었는지를 깨닫는다. 그래서 탐정은 자신을 “분실물 ‘찾기’ 전문이 아니라, 오히려 분실물 ‘발견하기’ 전문인지도 모른다”고 말한다(「분실물 찾기의 대가」). 그가 “잃어버린 것은 그저 잃어버린 것으로 놔둬야 하는 건지도 모른다”고 말하는 대목은 과거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를 다시금 돌아보게 하기도 한다. 그것이 때때로 “그날 밤 왜 우리는 아무도 그에게 그런 지적을 하지 않았을까?”와 같은 궁금증을 남기더라도 말이다(「아보카도의 진실」).


처음에는 우리가 이 세상 누군가 한 명쯤은 자신을 한때 특별하게 만들어주었고 자신에게 이루 말할 수 없는 쾌락을 준 것을 여전히 손에 꼭 쥐고 있기를 바라서일 거라고 추측했었다. 그게 일견 우스꽝스럽거나 어리석어 보일지라도 말이다. 하지만 그 다음에는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날 밤 그녀에게 다른 말을 하지 않은 건, 우리가 그저 다른 사람의 어떤 부분을 똑바로 바라보고 그것에 대해 언급하는 것조차 더 이상 견디지 못하는 그런 사람들이 되었기 때문이리라고.   

—「아보카도의 진실」



“어떤 순간들은 그런 식으로 부지불식간에 내 앞으로 다가온다”

반짝이며 다가오는 우아한 사유의 세계


내 눈앞에 어떤 불빛들이 깜빡거리다 이내 사라졌다. 저게 뭐지? 나는 안경을 고쳐 썼다. 넓은 풀밭 곳곳에서 무언가 작은 불빛이 퐁퐁퐁 솟아오르는 것 같았다. 아, 저게 뭘까? 그건 반딧불이였다. (…) 어떤 순간들은 그런 식으로 퐁퐁퐁, 거리면서 부지불식간에 내 앞으로 다가오는 건지도 모른다고, 지금에서야 생각해본다. 그리고 이 순간들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다.  

—「작가의 말」에서


『맨해튼의 반딧불이』에는 고전 작품을 이어 쓴 이야기, 저자의 단편과 장편 소설의 씨앗이 된 이야기도 수록돼 다채로운 재미를 선사한다. 그중 「고양이 도둑」과 「빵과 코트」는 장편소설 『디어 랄프 로렌』 속 이야기의 번외편, 「허리케인」은 단편소설 「임시교사」의 씨앗이 된 이야기다. 『맨해튼의 반딧불이』 속 짧은 소설들을 타고 손보미 작가가 만든 우아한 사유의 세계로 진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