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가 말하였네』 출간 10년, 특별한 신작
‘나무 대변인’이 읽어주는 75편의 ‘나무-옛시’


버려지다시피 했던,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물푸레나무를 찾아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도록 만든 사람. 사흘만 꽃을 피운다는 빅토리아수련의 개화를 지키고자 잠들지 못하는 사람. 한 그루의 나무를 적어도 세 해에 걸쳐 보아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 다 다른 나무에게서 다 다른 사람을 떠올리는 사람. 나무가 속삭이는 소리를 듣고 전한다 하여 ‘나무 대변인’이라고 불리는, 나무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달려갔던 나무 칼럼니스트 고규홍의 새로운 책이 출간되었다.
저자는 2008년 처음 출간한 『나무가 말하였네 1・2』에서 ‘나무-시’와 그 시를 통해 만난 나무와 사람, 삶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나무 칼럼니스트만의 독자적인 해설과 직접 찍은 사진을 엮은 이 책들은 문학을 통해 식물을 알고 식물을 통해 문학을 이해할 수 있어 문학적인 감성과 생태적인 감수성을 키우는 데 맞춤했다. 이번에는 『나무가 말하였네』 출간 10년을 맞아, 특별하게도 다시 ‘나무-옛시’를 호명했다.
이황, 김정희, 박지원, 정약용, 김시습, 윤선도, 황진이, 한용운부터 왕유, 원매, 도연명의 시까지 나무를 말하는 옛시 75편을 엄선해 옮기고, 다정하고 세심한 감상과 사진을 더했다. 절개의 상징 소나무, 선비가 사랑했던 매화, 가을 계수나무의 향기, 딸아이 시집보낼 때 장롱 한 채 지어주려 키웠던 오동나무, 회귤고사가 떠오르는 귤나무, 동네의 수호목, 60년에 한 번 피는 대나무꽃, 남산의 국화 등 옛시에 새겨진 나무의 그윽한 정경들이 오랜 세월 지나도 여전히 진진하다.


‘나무가 말하였네’라는 이름으로 나무에서 시를, 시에서 나무를 찾으려 처음 나선 게 십 년 전입니다. 수백수천 년이 지나도록 한결같은 나무의 시간을 생각하면 겨우 십 년은 아무것도 아니지만, 앞으로 십 년보다 더 긴 세월 지난다 해도 나무처럼 한결같이 나무에 깃들어 살겠다는 마음으로 다시 한 권의 『나무가 말하였네』를 보탭니다. 부디 십 년에 걸친 이 작업이 자연과 더불어 살았던 선인들이 보여준 자연 사랑의 마음에 다가설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빕니다.
-「책머리에」에서



“나무와 함께하는 삶은 마침내 아름다울 수밖에 없다”
나무 한 그루에서 일으켜 세우는 사람살이의 지혜


저자는 옛시에 새겨진 나무의 흔적을 새롭게 찾는다. 선인들은 오늘의 우리보다 나무와 함께하는 자연적인 삶에 충실했다. 나무가 대상물로만 머무르지 않고 함께 살아가는 벗과 다름없었다. 따라서 나무에게 배우는 삶의 지혜는 더 굳건하다.
대나무는 꽃을 60년에 한 번 피운다. 대개의 식물이 사계절로 한 살이를 이루는 것에 비해 대나무는 60년을 한 살이로 본다는 것. “사철 푸른 잎, 꺾이지 않는 꼿꼿함”이 있고 꽃이 없으니 벌 나비 찾아들 이유가 없음을 옛 시인은 노래한다. “한 마디 다시 또 한 마디/ 천 가지에 돋은 만 장의 잎/ 스스로 꽃 피우지 않고/ 벌 나비 부르지 않는다”(정섭, 「대나무꽃」)
대나무의 인내와 듬직함을 사람살이에 대입하며 저자는 말한다. 꽃잎 하나 바람 한 줄기 그늘 한 줌 어느 것 하나 저절로 주어지는 건 없다고, 자연의 생명만큼 제 앞의 사정에 치열하게 맞서는 것이 없다고 설파한다. 스스로를 엄혹하게 다스려 생명을 이어가는 나무의 한결같은 태도에 감탄한다. “아슬아슬한 삶의 고비를 넘어선 기쁨의 소리이고, 생명의 울림”인 나무 곁에서야말로 인간다움을 회복할 수 있음을 아는 저자의 고견이 귀하다.


매실나무 잘 키워 매화꽃 보고
소나무 길러 솔바람 소리 들으며
대나무 키워 삽상한 그늘에 들고
국화 길러 떨어지는 꽃을 먹는다
오래도록 잘 키우는 법 물으니
나무 곁 덤불부터 잘라내라 하네
마음 기르는 것도 마찬가지 아닐까
욕망의 싹부터 잘라내야 한다
허나 욕심 버리기 쉽지 않으니
하릴없이 늘 깨어 있는 수밖에
-정온, 「한가로이 노래하다」



“살아 있는 것들은 저마다 다르다”
나무 읽기는 곧 사람 읽기


“오래 보아야 예쁘고 자세히 보아야 사랑스럽다”라는 이즈음의 시구는 참 좋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나무를 본다는 것은 사람을 본다는 것과 같다. 식물 관찰의 가장 바탕이 되는 건 뭐니 뭐니 해도 세심함이다. 어렵지 않아 보이지만, 거의 비법이라 해도 될 만큼 놀라운 결과를 일으킨다. 관심과 정성을 가지고 관찰하면 세상의 모든 꽃들은 다 예쁘고 사랑스럽다. 정성된 관찰이 없으면 제아무리 예쁜 꽃이라 해도 그게 다 그것이다. 보면 볼수록 다가가면 다가갈수록 꽃들은 저마다 다르고 예쁘다는 게 저자의 지론이다. 동백과 목련이 다르고, 국화와 수선화가 다르다고, 비슷한 종류의 나무들에서 피어나는 꽃도 그렇다고 말한다. 배꽃과 오얏꽃이 그렇고, 쑥부쟁이와 구절초가 그렇다.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같은 그루의 나무에서 피어난 꽃송이들조차 서로 다르다. 똑같은 건 단 하나도 없다고 말이다. 저자는 박제가의 옛시를 읽어주며, 꽃 아니어도 세상의 모든 생명들 사이, 그 사이에 존재하는 미묘한 차이는 바라보는 사람에게 기쁨과 사랑을, 미소와 희열을 전해준다고, 살아 있는 모든 것들은 저마다 다르다고 힘주어 말한다.


세상의 온갖 꽃들을
붉다고만 할 수 없어라
꽃술마다 제가끔 다르니
오래 자세히 살펴야 하리
-박제가, 「꽃술」


나무와 시에는 비슷한 점이 있다. 다양하다는 것, 흔하지만 그냥 지나치기 쉽다는 것, 봐도 뭐가 뭔지 알 수 없다는 것, 하지만 가까이 두고 음미하면 할수록 보이고 들리고 느낄 수 있다는 것, 잠시 멈춰 관찰하고 기다리면 지금껏 몰랐던 감동을 준다는 것.
천천히 걷다 보면 목적지만을 향해 빠르게 달릴 땐 미처 몰랐던 여러 풍경을 만날 수 있는 것처럼, 우연적이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나무와의 만남, 그리고 옛시와의 만남을 통해 우리는 천년 세월의 이야기를 듣고, 오랜 사람의 향기에 눈뜨게 된다. 꽃이 피고 잎이 지는 것, 어김없이 찾아오는 계절까지 어느 것 하나 새롭지 않은 것은 없음을 다시 강조한다.
옛시를 통해 선인이 “나무로 지은 언어의 사원”, 그 오래된 나무의 품을 다시 우리의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눈과 귀가 밝은, 오랫동안 길 위의 나무 이야기를 받아 적었던 저자의 요원한 세월이 앞서서 우리를 이끈다. 75편의 ‘나무-옛시’와 함께 그 소중한 시간을 가늠해볼 기쁨이 놓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