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활동 시기에 나온 레비스트로스 내면의 목소리
문명사회 인간의 오만에 대한 경고


『레비스트로스의 말』은 1959년 10월부터 12월까지 프랑스 RTF 채널에서 방송된 내용을 책으로 옮긴 것이다. 클로드 레비스트로스가 초기작 『슬픈 열대』만을 발표했던 시기로, 그가 이후 방대한 분량의 저서를 준비하며 지적으로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던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에서 레비스트로스는 사회를 기계장치에 비유하며, 인류학자가 연구하는 사회는 증기기관처럼 “뜨거운 사회”가 아니라 시계처럼 정밀한 구성요소를 갖춘 “차가운 사회”라고 밝힌다. 이는 물리학자들이 엔트로피라고 부르는 것이 지극히 낮은 사회로, “자기 자신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경향이 있어 역사도 없고 진보도 없는” 원시사회를 일컫는다. 반면 현대사회는 진보라는 허상을 좇느라 차별적 격차를 지속적으로 재생산함으로써 스스로 무질서에 빠진 사회다.
레비스트로스는 문명사회의 인간은 자기가 속한 세계만이 객관적이며 실재적이라는 오만에 빠지기 쉽다고 설명한다. 어떤 대상을 외부에서 바라볼 때에는, 설령 그 안에 들어가 있다고 하더라도 바깥성이라는 한계를 인정하면서 내적 원리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와 아주 다르고 멀리 떨어져 있는 사회를 외부에서 보는 것과 내부에서 보는 것은 전혀 다른 차원입니다. 설령 그 안에 있어도 알 수 없는 것이 있지요. 그게 바로 흥미로운 점이에요. 차이가 있고 또 비슷한 것들이 있지만 말로 할 수는 없어요. 절대적 불가능이 있어요.
-127쪽

 

레비스트로스는 문명사회의 편협함이 예술사를 통해서도 드러나 있음을 지적한다. 창작자의 개별성에 따라 작품을 구분할 수 있었던 원시사회와 달리 현대사회에서는 구매자의 취향에 따라 작품이 점점 구상화·보편화되었다고 말이다. 그는 이런 현상을 바탕으로 예술이 시적 재현이기보다 그저 신호 체계로 전락해가고 있음을 경고한다. 본디 예술이란 문화를 통해 자연을 보다 높은 차원에서 포착하고자 하는 노력이며, 기표와 기의 사이의 긴밀한 상동성相同性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우리는 방금 모든 예술이 언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보통 그 반대가 되지요. 예술에서 언어 혹은 메시지를 발견하게 되면 예술은 더 이상 없는 것과 같습니다. 만일 예술이 언어라면, 그건 의식적 사고 안에서 하는 말이 아닐 겁니다. 예술가가 배치를 위해 이용하는 모든 수단이 그만한 기호들로 구성됩니다. 예술 작품의 기능은 오브제를 의미하게 만들고, 한 오브제와 의미 관계를 세우는 것에 있다고 봅니다.
-134쪽



‘말’로 풀어낸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
‘다르나 결국 같은 것’을 환기하는 지적 대화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프랑스 태생의 유대계 인류학자로 프랑스 지성사에서 장 자크 루소 이후로 가장 박식한 인물로 꼽힌다. 1949년에 박사 학위 논문으로 발표한 『친족 관계의 기본 구조』를 시작으로 학문적 업적을 쌓던 그는 1962년에 『야생의 사고』를 통해 장 폴 사르트르의 실존주의를 날카롭게 비판함으로써 구조주의 시대를 열었다. 프리드리히 니체, 페르디낭 드 소쉬르, 미셸 푸코, 롤랑 바르트의 사상과 연결되는 레비스트로스의 구조주의 인류학은 원시와 현대를 비교·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그 경계를 무화無化하고자 하는 시도로 사상계에 충격을 불러일으켰다. 

 

우리는 우리 사회에 대해 사고할 때 어떤 가치 체계와 참조 체계를 이용합니다. 그러나 다른 사회를 사고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이런 체계를 버려야 합니다.
-32쪽

 

레비스트로스는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인류를 보다 객관적으로 들여다보고자 노력하였다. 현상이 아닌 그 너머의 근본원리를 집요하게 탐구함으로써 역사적 인과와 세분화를 초월한 관점을 제시했던 것이다.
『레비스트로스의 말』은 『수전 손택의 말』 『보르헤스의 말』 『한나 아렌트의 말』에 이어 마음산책에서 출간한 네 번째 ‘말에 지성이 실린 책’이다. 1959년에 교수이자 미술평론가인 조르주 샤르보니에와 나눈 대담을 옮긴 것으로, 두 사람의 대화는 끊임없이 충돌하면서도 공동의 이해를 향해 한 걸음씩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질문자 샤르보니에는 순수한 듯 무지하게 공격적으로 질문하는데, 답변자인 레비스트로스는 적당히 건너뛰거나 우회하지 않고 자기 시점과 영역을 지켜낸다. 인류학에 대한 오해와 몰이해를 밝히기 위해 오히려 인류학이 취하는 학문적 태도라는 틀을 유지하는 것이다. 두 사람의 대화는 때로 상충하고 병렬적으로 흐르기도 하는데, 이 둘 사이에 흐르는 긴장감과 버티기가 오히려 독자가 느끼는 대담의 진미일 수 있다.
-13쪽, 「들어가며」
 
뿐만 아니라 이 책에서 레비스트로스는 인상주의에서 추상주의에 이르기까지 예술사를 폭넓게 다룸으로써 기호 체계이자 상징체계로서의 예술 작품과 그 가치를 심도 있게 분석한다. 알프레드 시슬레, 카미유 피사로, 파블로 피카소, 앙리 마티스를 지나 마르셀 뒤샹까지. 그는 낯익고도 낯선 작품들의 창작 배경뿐 아니라 이를 통해 문화가 자연 속에 삽입될 수 있었던 과정, 언어의 기원에 대한 지적 대화를 이어나간다.

 

언어의 기원 문제를 해결하는 날, 우리는 어떻게 문화가 자연 안으로 삽입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하나의 질서에서 다른 질서로의 이행이 어떻게 이뤄질 수 있었는지도요.
-187쪽



문화와 언어의 기원을 찾아서
차갑고도 뜨거운 지성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책


『레비스트로스의 말』에서 그는 문화의 실체로서 언어를 지목한다. 언어야말로 문화의 본질적인 도구이며, 우리가 집단 문화에 동화될 수 있게 하는 특별한 수단이라는 것이다.

 

한 아이가 문화를 배웁니다. 그것은 말을 하기 때문이지요. 질책을 하고, 권고를 하고, 모든 것이 말로 이루어집니다. 특히 언어는 모든 문화적 표현물 중에서 가장 완벽한 것입니다. 하나의 호칭 혹은 다른 여러 개의 호칭으로 어떤 체계를 만듭니다. 예술, 종교, 법, 요리, 예의범절 같은 것도 일종의 언어 체계입니다.
-184쪽
 
레비스트로스는 언어의 기원이 곧 문화의 기원이라고 주장한다. 언어의 기원을 밝힐 수 있다면 문화가 어떤 과정을 통해 우리에게 주어졌는지 알 수 있고, 그를 통해 다른 문제들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노력이 예술 분야에서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무의식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현대 인간의 미적 활동뿐만 아니라 기술적・과학적 활동도 마찬가지예요. 현대 과학의 모든 위대한 창조 행위들은 인간을 점점 더 자연과 직접 통하게 하고 조화를 이루게 하고, 그러면서 일종의 도구 혹은 수단을 만들게 합니다. 그로써 위대한 자연의 법칙이 자연스레 표현되도록 하지요.
-173쪽

 

레비스트로스는 문화가 자연에 속하는 것이기에, 자연을 연구하는 것이 곧 문화의 근본원리를 모색하는 길임을 밝힌다. 또한 자연과 문화의 불연속성마저도 인류학자가 탐구해야 할 대상임을 견지한다. 이렇듯 그는 『레비스트로스의 말』에서 누구보다 ‘차가운’ 인류학자이면서 동시에 누구보다 ‘뜨거운’ 열정과 지성의 목소리를 들려준다.